본문 바로가기
경제

주휴수당이란? 조건, 계산법, 실제 사례까지!

by iloveraining 2025. 4. 7.

 

아르바이트나 단기근로를 하다 보면 ‘주휴수당’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.
하지만 정확히 무엇인지, 언제 받을 수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죠.
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개념부터 지급 조건, 계산 방법, 실제 사례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!

✅ 주휴수당이란?

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성실히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.
즉,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면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.

✅ 주휴수당 지급 요건

  • ① 1주일 동안 개근: 소정근로일에 결근 없이 출근해야 합니다.
  • ② 주당 15시간 이상 근로: 주간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해요.

✅ 주휴수당 계산 방법

계산식: 시급 × 1일 근로시간
예시: 시급 10,000원 × 하루 4시간 = 40,000원 (주휴수당)

✅ 실제 사례로 이해해보세요!

📌 사례 1. 편의점 알바생 민수

민수는 하루 4시간씩 주 5일, 총 20시간을 일합니다. 시급은 9,860원입니다.
👉 주 15시간 초과 + 개근 조건 충족 → 주휴수당 지급 대상!
주휴수당 = 9,860원 × 4시간 = 39,440원

📌 사례 2. 카페 알바생 수진

수진은 주 3일, 하루 4시간씩 근무합니다. 주당 총 12시간 근무죠.
👉 주 15시간 미만 → 주휴수당 지급 대상 아님!

📌 사례 3. 주 5일 일했지만 하루 무단결근한 준호

준호는 하루 5시간씩 주 5일 근무 계약이지만, 한 번 결근했어요.
👉 주당 25시간 근무 조건은 충족하지만, ‘개근’ 조건 미충족 → 주휴수당 미지급

✅ 주휴수당 지급일과 주의사항

  • 보통 주휴일(일요일 등)에 해당하는 날의 급여일에 함께 지급
  • 근로계약서에 언급이 없더라도 법적으로 지급해야 함
  •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에 진정 가능 (최대 3년 치 소급 가능)

✅ 마무리

주휴수당은 일한 만큼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법적 권리입니다.
주당 근무시간과 출근일을 꼼꼼히 체크해보시고, 내가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이 있다면 꼭 챙기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