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르바이트나 단기근로를 하다 보면 ‘주휴수당’이라는 말을 자주 듣게 됩니다.
하지만 정확히 무엇인지, 언제 받을 수 있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죠.
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개념부터 지급 조건, 계산 방법, 실제 사례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!
✅ 주휴수당이란?
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성실히 근무한 근로자에게 주어지는 유급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.
즉, 정해진 조건을 충족하면 일하지 않아도 하루치 급여를 받을 수 있어요.
✅ 주휴수당 지급 요건
- ① 1주일 동안 개근: 소정근로일에 결근 없이 출근해야 합니다.
- ② 주당 15시간 이상 근로: 주간 총 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해요.
✅ 주휴수당 계산 방법
계산식: 시급 × 1일 근로시간
예시: 시급 10,000원 × 하루 4시간 = 40,000원 (주휴수당)
예시: 시급 10,000원 × 하루 4시간 = 40,000원 (주휴수당)
✅ 실제 사례로 이해해보세요!
📌 사례 1. 편의점 알바생 민수
민수는 하루 4시간씩 주 5일, 총 20시간을 일합니다. 시급은 9,860원입니다.
👉 주 15시간 초과 + 개근 조건 충족 → 주휴수당 지급 대상!
주휴수당 = 9,860원 × 4시간 = 39,440원
📌 사례 2. 카페 알바생 수진
수진은 주 3일, 하루 4시간씩 근무합니다. 주당 총 12시간 근무죠.
👉 주 15시간 미만 → 주휴수당 지급 대상 아님!
📌 사례 3. 주 5일 일했지만 하루 무단결근한 준호
준호는 하루 5시간씩 주 5일 근무 계약이지만, 한 번 결근했어요.
👉 주당 25시간 근무 조건은 충족하지만, ‘개근’ 조건 미충족 → 주휴수당 미지급
✅ 주휴수당 지급일과 주의사항
- 보통 주휴일(일요일 등)에 해당하는 날의 급여일에 함께 지급
- 근로계약서에 언급이 없더라도 법적으로 지급해야 함
- 미지급 시 고용노동부에 진정 가능 (최대 3년 치 소급 가능)
✅ 마무리
주휴수당은 일한 만큼 정당하게 받을 수 있는 법적 권리입니다.
주당 근무시간과 출근일을 꼼꼼히 체크해보시고, 내가 받을 수 있는 주휴수당이 있다면 꼭 챙기세요!
'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미국 90일 관세 유예 오보 사태, 시장은 어떻게 반응했나? (0) | 2025.04.08 |
---|---|
삼성전자 2025년 1분기 실적 분석 (0) | 2025.04.08 |
신용카드 추천 총정리 (2025년 최신) (0) | 2025.04.07 |
신용카드 리볼빙 서비스란? 장단점 총정리 (0) | 2025.04.07 |
2025년 4월 7일, 한국 증시 '블랙 먼데이'… 무슨 일이 있었나? (0) | 2025.04.07 |